loading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주휴수당 지급 조건, 계산 방법 등 알아보기

by 라라필드 2024. 1. 7.
반응형

2024년에는 시간당 최저임금이 9,86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급여에는 주휴수당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주휴수당은 쉬는 날에도 하루 일당이 제공되는 유급휴일을 의미합니다.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일정한 지급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특히, 아르바이트생과 같은 단기 근로자의 경우에는 일하는 시간에 변동이 많이 생길 수 있습니다. 때문에 어느 날은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지만, 어떤 날에는 충족하지 않아 혼동이 올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휴수당의 지급 조건, 계산 방법 등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주휴수당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근로조건을 개선하고, 근로자가 주휴일에도 일정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를 기반으로 하며, 이는 근로자에게 일주일간 소정근로일수를 개근한 경우, 1주일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제공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이 유급휴일을 주휴일이라고 하며, 해당 주휴일에 대해서는 하루치 임금을

계산하여 지급해야 하는 수당을 주휴수당이라고 합니다.

소정근로는 법정근로시간 내에서 사업주와 근로자가 합의하여 정한 근로시간을 의미합니다. 소정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게는 주휴일을 제공해야 하며, 이 경우 주휴일에 근로하지 않은 대신 하루치 임금을 주휴수당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지급 조건

 

주휴수당은 사업장 규모와는 관계가 없으며, 다음 조건만 충족하면 됩니다.

 

  • 일주일 15시간 이상 근무
  • 일주일 동안 개근
  •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 40시간을 초과 근무하더라도 40시간까지 계산됩니다.

※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지각, 조퇴, 결근 등 발생시 지급 대상에서 제외 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주휴수당주휴수당

 

계산 방법

 

1. 일주일 동안 40시간 초과 근무한 경우

 

8시간 x 시급

 

예를 들면, 일주일 동안 50시간 근무하고 시급 1만원 알바라면

 

기본임금 : 50시간 x 1만원 = 50만원

주휴수당 : 8시간 x 1만원 = 8만원

전체임금 : 58만원 

 

2. 일주일 동안 40시간 이하 근무한 경우

 

(일주일 근무 시간 / 40시간) x 8시간 x 시급

 

예를 들면, 일주일 동안 20시간 근무하고 시급 1만원 알바라면

 

기본임금 : 20시간 x 1만원 = 20만원

주휴수당 : (20시간 / 40시간) x 8시간 x 1만원 = 4만원

전체임금 : 24만원

 

주휴수당주휴수당주휴수당

 

3. 주휴수당 계산기

 

네이버에서 주휴수당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선택 근무시간 체크)

 

네이버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 고용주가 주휴수당 지급을 거부하는 경우 : 퇴사 2주 후 고용노동부에 임금체불 진정서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임금체불진정서 제출 바로가기

 

 

 

폐지 논란

 

최근 주휴수당 존립에 관한 많은 논란이 있지만, 현재까지 폐지에 관해 결정된 사항은 없습니다.

다만 2024년 최저임금은 9,840원이며,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11,823원이 됩니다. 이러한 금액이 고용주 입장에서

부담스럽기 때문에 근로자의 고용에 소극적으로 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에 대한 합리적인 보완책이 나오기를

기대해 봅니다.

 

주휴수당주휴수당주휴수당

 

이상으로 주휴수당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하루빨리 고용주와 근로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제도로

만들어 지기를 바랍니다.